한 걸음씩
[패캠] 서비스 기획 - 핀테크 본문
◆ 비판적 사고로 바라보기
해당 어플의 한 부분을 캡처하여 개선사항/불편한 점/좋은 점을 짧게 코멘트를 남겨 기록하기
◆ 아이디어 발굴하기
▷ 밴치마킹이란 ?
- 우수한 다른 기업의 사례를 응용하여 적용하는 일
- 단순히 베끼기 X
- 우리 서비스에 적용할만한 인사이트 찾아서 적용하기 → 전략적으로 똑똑하게 베끼자!
▷ 밴치마킹의 범위
- 서비스의 전략, 전반적인 범위에 대한 벤치마킹
- 서비스의 목적, 가치, 전략
- 서비스의 전반적인 flow, 주요 기능
- 세부 기능 단위에 대한 벤치마킹
- 해당 기능의 문제 해결 방식
▷ 밴치마킹 대상 서비스 정하기
- 서비스의 전략, 전반적인 범위에 대한 벤치마킹
- 동종 업계 타사 사례 찾아보기
- 세부 기능 단위에 대한 벤치마킹
- 업계 상관없이 기능에 집중해서 서치 하기
- 무조건 많이 써보기
- 서비스 참고 사이트: 국내) https://wwit.design/ 국외) https://uxarchive.com/
- 국내, 국외 사례 포함하여 3~5개 안팎으로 서비스 선정: 토스, 모니모, 롯데카드, 그 외
▷ 아이디에이션
- 아이디어는 질보다 양이다!
- 한쪽 벽에 지난 강의 때 뽑았던 개선포인트들, 카카오페이의 주요 기능들을 포스트잇에 적어 붙인다
- 벤치마킹 정리 문서도 참고할 수 있도록 시선이 가는 곳에!
- 3~5분 정도 타이머를 맞춰 놓고 새로운 포스트잇에 떠오르는 모든 것을 다 적는다(1장에 1개의 아이디어)
◆ 솔루션 만들기
▷ 아이디에이션
▷ 페르소나
▷ 예상 시나리오
▷ 저니맵
★ 이런 식으로 작성을 할 수 있다는 것 참고만 하기
◆ 기획
실무에서 이런식으로 기획을 하고 디자이너와 개발자들과 의사소통
▷ 알고리즘 설계하기
주로 피그마나 파워포인트 사용함
▷ prototyping
가장 편한 방법(피그마)으로 만들고 손으로 스케치해보는 과정도 좋다
와이어 프레임을 먼저 작성한다. 형태만 잡는 것이기 때문에 디자인 신경 X
figma에 wireframe ui라고 검색하면 [Mobile Wireframe UI Kit], [apple iOS UI 15] 해당 템플릿들을 복사해 두면 와이어프레임 작성하는데 편리함
home case1에서 이동할 버튼 선택 - prototype - interactions - navigate to - home case2 - 우측 상단의 재생 버튼 누르면 만들어둔 프로토타입을 볼 수 있다.
▷ 화면설계서 작성
국내의 경우 파워포인트가 기본이고 추가로 피그마로 작업
▷ 요구사항정의서 쓰기
템플릿을 가져다 쓰기보다 스스로 요구사항 정의서를 작성할 줄 알아야 함
요구사항 ID, 구분, 분류, 요구사항명, 상세내용, 확정여부, 관련부서, 비고, 변경내역(변경자, 변경일, 변경사유, 변경내용), 화면명, 화면 ID
▷ WBS로 일정 계획 짜보기
WBS 템플릿이 있지만 스스로 작성해 보는 것이 좋음
◆ 포트폴리오 만들기
▷ summary 1장
- 배경: 문제의식
- 해결 방식: 주요 기능, 컨셉
- 기대 효과
- 화면 목업
▷ 과정 2~3장
- 비즈니스 분석
- 거시 환경 분석: 핀테크 시장 현황, 트렌드, 규제
- 자사 분석: 카카오페이의 비전과 목표, 타겟
- 타사 분석: 네이버페이, 토스 (경쟁사)
- 서비스 분석
- 주요 기능의 journey map
- 알고리즘 순서도
- 주요 기능의 journey map
- 기획안
- 개선 방향성: 개선 컨셉, 주요 기능(as-is/to-be)
- 화면설계서 혹은 프로토타입
- 기대효과 및 향후 계획
'서비스 기획'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행사 기획 - SEA! BUSAN RUNWAY (1) | 2024.07.28 |
---|---|
서비스 기획 - 하루영어 (0) | 2024.04.13 |
[패캠] 서비스 기획 - O2O에 대하여 (0) | 2024.03.19 |
[패캠] 서비스 기획 Case Study - 인하우스/외주 (0) | 2024.03.15 |
[패캠] 서비스 기획 - 이커머스 역기획 (0) | 2024.03.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