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BOJ (62)
한 걸음씩

https://www.acmicpc.net/problem/1427 1427번: 소트인사이드 첫째 줄에 정렬하려고 하는 수 N이 주어진다. N은 1,000,000,00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 www.acmicpc.net 풀이 과정 1. 입력 값을 문자열 리스트로 받으면 하나하나 쪼개지는데 2. 리스트로 만든 입력 값을 for문을 돌려서 정수로 변환해준다 3. sort함수로 오름차순으로 정렬해준다음 4. 출력은 내림차순으로 해야하니까 [::-1] 슬라이싱과 sep=''을 이용해서 출력한다 num = [int(i) for i in list(input())] num.sort() print(*num[::-1], sep='') 리뷰 실버5 문제인데 쉬운 편..

https://www.acmicpc.net/problem/10870 10870번: 피보나치 수 5 피보나치 수는 0과 1로 시작한다. 0번째 피보나치 수는 0이고, 1번째 피보나치 수는 1이다. 그 다음 2번째 부터는 바로 앞 두 피보나치 수의 합이 된다. 이를 식으로 써보면 Fn = Fn-1 + Fn-2 (n ≥ 2)가 www.acmicpc.net 풀이 과정 1. 입력받은 수가 10이라고 가정하면 0~10까지 리스트에 저장 2. for문을 num 리스트로 돌려서 나오는 값이 0과 1이라면 바로 fib리스트에 저장하고 3. 나오는 값이 2 이상이라면 fib에 먼저 들어간 0과 1의 값을 더해서 복리처럼 계산해주면 되는데 i = 5 라면 5의 피보나치 수는 5이다. f4 + f3 즉 2 + 3 [0, 1,..

https://www.acmicpc.net/problem/2587 2587번: 대표값2 어떤 수들이 있을 때, 그 수들을 대표하는 값으로 가장 흔하게 쓰이는 것은 평균이다. 평균은 주어진 모든 수의 합을 수의 개수로 나눈 것이다. 예를 들어 10, 40, 30, 60, 30의 평균은 (10 + 40 + 30 + 60 + www.acmicpc.net 풀이 과정 number = [int(input()) for _ in range(5)] # 입력받은 값을 새 리스트에 저장 total = int(sum(number) / len(number)) # 평균 값 num_sort = sorted(number) # 중앙값 출력을 위한 정렬 mid = len(num_sort) // 2 # 중앙값 찾기 : 길이 // 2 = ..

https://www.acmicpc.net/problem/2440 2440번: 별 찍기 - 3 첫째 줄에는 별 N개, 둘째 줄에는 별 N-1개, ..., N번째 줄에는 별 1개를 찍는 문제 www.acmicpc.net 풀이 과정 1. 입력값을 정수로 받는데 2. 예제 출력을 보니까 입력값이 5일경우 처음 출력이 별 5개니까 range범위를 거꾸로 설정해야한다 3. range(int(input()), 0, -1) => 입력 값 : 5, 별이 1개까지 출력되어야 하니까 마지막 범위는 0, 거꾸로 출력해야하니까 -1 step for i in range(int(input()), 0, -1): print(i * '*') 리뷰 for문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이해한다면 쉽게 풀 수 있는 문제였다

https://www.acmicpc.net/problem/25305 25305번: 커트라인 시험 응시자들 가운데 1등은 100점, 2등은 98점, 3등은 93점이다. 2등까지 상을 받으므로 커트라인은 98점이다. www.acmicpc.net 풀이 과정 n, k = map(int, input().split()) # 학생 수 n, 점수가 가장 높은 k명 x = list(map(int, input().split())) # n명의 학생 점수를 list로 입력값을 받기 x.sort() # 오름차순으로 정렬 => 가장 큰 점수가 마지막에 위치하도록 x.reverse() # 내림차순으로 정렬 => k를 통해 for문 돌려서 출력할거라서 가장 큰 점수가 제일 맨 앞에오도록 score = [] # k명의 커트라인까지 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