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걸음씩
[패캠] 프로덕트 매니저가 되기 위한 만반의 준비 본문
◆ 직무
서비스 기획자 / 프로덕트 매니저(PM) / 프로덕트 오너(PO)
◆ 채용공고에 꼭 나오는 표현
사용자와 고객입장 | 전략 방향 제시 | 고도화 | A부터 Z까지 | 데이터를 기반으로 | 유관부서와 커뮤니케이션 | 서비스 플로우 설계 및 UI/UX | 주도 | 리드 | 다양한, 복잡한
→ 타인의 문제를 객관적인 자료를 통해 읽을 수 있다, 제품을 둘러싼 여러 사건이 연루되며 해결 일선에 서야 한다, 말이 아닌 설계와 결과로 부여주어야 한다.
: 프로덕트의 가치를 극대화 하는 방향과 방법을 찾아 실현해 내는 사람 : |
◆ 이 직무는 왜 이렇게 복잡할까?
- 환경 변화에 빨리 적응, 비효율 보완, 전문성을 고도화하기 위한 고민의 결과
- 시작 주도 사업자가 필요에 의해 리드
- 후발 주자들이 벤치마킹, 각자의 환경에 맞춰 변형
◆ 일잘러 프로덕트 매니저의 조건
- 문제해결, 시각화, 책임감
- 내게는 문제를 해결할 책임이 있다. 모호한 문제를 명확히 밝히고 해결책을 모색하기 위해서는 이를 스스로 시각화할 수 있어야 한다.
◆ 프로덕트 매니저가 해결해야 할 문제는?
→ 사용자가 느끼는 문제
- 사용자의 문제를 해결할 전략 문제
- 사용자의 문제를 해결할 제품 문제
- 제품 문제를 해결할 프로젝트의 문제
- 프로젝트 문제를 해결할 조직문제 (경영진의 문제 ...?)
- 제품 문제가 숨겨진 데이터의 문제
질문 | ≠ | 문제 |
질문 | > | 문제 |
추상적 | 구체적 | |
정답X | 접근O | |
해결 보고 | 액션 아이템 |
◆ 시각화의 종류
- 정리(요약, 핵심): 표, 다이어그램, 마인드맵
- 설계(디자인, 분석): 사용자 스토리, 고객 여정, 인포메이션 아키텍처, UX 설계서, 데이터 시각화
- 프레임워크(방향, 순서, 이론): 린 캔버스, 마케팅 프레임워크, 디자인띵킹 프레임워크, 우선순위 프레임워크
문제 상황) 웹툰 서비스의 부정적인 피드백을 어떻게 해결할까?
문제 상황에 대한 솔루션) 질문을 쪼개서 문제를 명확히 하기!!!
구체적인 방향 ↓
1. 부정적인 피드백 파악
- 피드백의 출처: 앱스토어(기능이슈), 공식 고객문의(항의), 사용자의 블로그(험담, 특정 웹툰에 대한 부정적 의견), 댓글
- 피드백의 내용: 콘텐츠 유해성, 콘텐츠의 재미, 기술 문제, UX 문제
- 피드백의 주체: 작가, 미성년자 독자, 성인 독자, 미성년자를 둔 부모
- 피드백의 영향도: 피드백의 개수, 피드백 사용자의 재방문 및 탈회, 입소문
2. 해결책 도출 및 실행
3. 해결됐는지 확인
'서비스 기획'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패캠] 서비스 기획 - 개론 <서비스기획부터 런칭, 운영, 회고까지> (0) | 2024.03.09 |
---|---|
[패캠] 서비스 기획 - 개론 <UI/UX> (0) | 2024.03.09 |
[패캠] 서비스 기획 - 개론 <사용자 & 서비스 분석> (0) | 2024.03.09 |
[패캠] 서비스 기획 - 개론 <마켓 리서치 > (0) | 2024.03.09 |
[패캠] 서비스 기획 - 개론 <문제 발견 및 기회 창출> (0) | 2024.0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