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걸음씩
[패캠] 서비스 기획 - 개론 <데이터가 흐르는 서비스 만들기> 본문
CH 06. 데이터가 흐르는 서비스 만들기
1. 그로스 해킹 이해하기
♣ 그로스해킹(Growth Hacking)
- 데이터를 기반으로 정의한 핵심지표를 바탕으로
- 실험을 통해 배움을 얻고, 이를 빠르게 반복하면서
- 제품이나 서비스를 성장시키는 것
ㄴ 무료 이용 중복 방지를 위해 회원 가입시 카드 정보를 입력하도록 유도 했으나 사용자의 입장에서 불쾌함을 느껴 중도이탈이 발생
ㄴ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카드 정보 입력시 왜 입력을 해야하는지 사전 설명을 통해 사용자를 이해시키고, 사용자가 우려하는 부분인 정보 유출과 같은 문제에 대하여 30일간 어떠한 결제도 일어나지 않는다는 것은 명시하여 신뢰감을 제고했다.
ㄴ 또한 한달에 40달러라고 명시하는 것 대신 한 달동안 무료 0달러인 것을 강조해 무료체험을 유도했다.
ㄴ 개선 후 무료 체험 이용률이 116%이나 증가했다.
2. 그로스 해킹의 전제 조건 - Product-Market Fit
ㄴ 페이스북 초기에 교내에서만 사용했는데 이 때 완벽한 PMF가 되어 성장하게된 배경이 있다.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았다. 고객이 늘지 않는다. 고객이 이탈한다.
디자인의 문제일까?
기능의 문제일까?
<< 잘못된 사고 >>
"아직 계획했던 만큼의 기능이 완성되지 않아서야
새로운 기능을 추가해서 완성도를 높이자!"
우리 제품, 서비스가 가지고 있는 문제를 모르는 경우가 훨씬 많다.
서비스를 만들 때는 반드시 시장과 고객 분석이 필수적이다.
♣ 최소기능제품(MVP)
- Minimum Viable Product
- 시장에 대해 잘 모른다는 전제에서 고객, 시장의 반응을 확인하기 위한 과정
- 실제로 제품을 만들어서 반응으로 보고 수집하는 과정
3. 지표 활용하기
♣ 리텐션(Retemtion rate)
- 사용자들이 서비스에 얼마나 꾸준히 남아서 활동하는지 보여지는 지표
♣ 전환율(Conversion)
- 한 단계에서 다음 단계로 넘어가는 사용자의 비율을 의미함
- 사용성이나 UI/UX의 영향을 많이 받는 지표
♣ 순수 추천 지수(Net Promotor Score)
- 사용자들이 서비스에 얼마나 만족하는지 보여주는 지표
4. AARRR (1) - 이해하기
♣ Acquisition (고객획득)
- 신규 고객을 어떻게 유치할 것인가?
- 신규 고객들은 어떤 방법으로 우리 제품/서비스를 처음 접하고 있는가?
- 온/오프라인 광고, 이메일, SNS 등 다수의 채널이 존재
- 측정 지표: CPA, CAC, 신규 방문자 수, 신규 방문자 유입 경로
♣ Activation (활성화)
- 고객들이 우리 서비스의 핵심기능을 잘 사용하는가?
- 고객의 제품/서비스 첫 사용 경험은 긍정적인가?
- 활성화 단계의 핵심은 퍼널에 대한 분석이 동반된다.
- 측정 지표: 웹사이트 트래픽, 체류시간, PV, 회원가입률, 구매전환율 등
♣ Retention (리텐션)
- 고객들이 우리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사용하는가?
- 초기 비즈니스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
- AARRR 중에 가장 개선이 어려운 부분
- 고객 동선 전반에 걸쳐서 측정해야 함
- 측정 지표 : 리텐션율, 이탈률 등
♣ Revenue (수익화)
- 고객들이 우리 서비스에 돈을 지불하는가?
- 서비스에 비즈니스 모델이 있는지 확인하고, 비즈니스 모델이 잘 동작하는지, 비용 대비 수익이 안정적인지 확인 필요
- 측정지표 : ARPU(Average Revenue Per User), 총매출 등
♣ Referral (추천)
- 고객들이 주변 지인들에게 서비스를 소개, 추천하는가?
- 측정 지표 : 고객 획득 비용(CAC), 바이럴 계수(Viral Coefficient)등
5. AARRR (2) - 케이스 스터디
6. OMTM - 지금 가장 중요한 한가지 지표
♣ 좋은 지표란?
- 상대적이다
- 이해하기 쉽다
- 비율로 표현된다
- 행동을 바꾼다
♣ 올바른 지표를 선택할 때 중요한 5가지
- 정성적 지표와 정량적 지표
- 허상 지표와 실질 지표
- 탐색 지표와 보고 지표
- 선행 지표와 후행 지표
- 상관 지표와 인과 지표
♣ OMTM의 이해
- One Metric That Matters
- 지금 가장 중요한 한가지 지표의 약자
- 제품/서비스 성공의 핵심 중 하나는 정확한 목표/방향을 정하고 그것을 유지하는 것
- OMTM은 고정되지 않고, 시간이 흐르면서 변함
OMTM와 KPI는 같은 것이 아닐까?
아니다!
♣ KPI(Key Performance Index)
- 과업 기반의 회사에서 많이 쓰이는 개념
- 팀이나 부서 단위로 서로 다르게 설정됨
- 업무를 하면서 생기는 숫자를 관리, 일반적으로 성과측정을 위해 활용하는 지표
- 달성 여부 자체가 굉장히 중요한 지표
'서비스 기획'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패캠] 서비스 기획 - 역기획 Warm up (0) | 2024.03.10 |
---|---|
[패캠] 서비스 기획 - 이커머스 (0) | 2024.03.10 |
[패캠] 서비스 기획 - 개론 <서비스기획부터 런칭, 운영, 회고까지> (0) | 2024.03.09 |
[패캠] 서비스 기획 - 개론 <UI/UX> (0) | 2024.03.09 |
[패캠] 서비스 기획 - 개론 <사용자 & 서비스 분석> (0) | 2024.0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