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걸음씩

[패캠] 서비스 기획 - 역기획 Warm up 본문

서비스 기획

[패캠] 서비스 기획 - 역기획 Warm up

winter17 2024. 3. 10. 12:41

CH 02. 역기획 Warm up

 

1. 역기획에 필요한 마음가짐과 자세

  • UX/UI는 잊자! 화면에 보이는 것은 결과일 뿐이다. 우리는 그 이면을 알아야 한다.
  • 지금 상태는 지금까지의 최선! 여기 선배들은 왜 이렇게 디자인했을까?
    • 수익 증대와 연결된 문제 아닐까?
    • 연관된 부서가 있어서 의사결정이 어려운 것 아닐까?
    • 우선순위가 상대적으로 낫지 않을까?
  • 당신이 이 서비스의 기획팀장이라면 요즘 주된 고민거리가 무엇일까?
    • 올해 사업 목표와 우리 팀의 KPI는?
    • 쌓여있는 여러 과제 중 우선순위는?
    • 부족한 리소스를 감안했을 때, 가장 현실적인 계획은?
    • (상무님이 좋아하실) 신선한 아이템은 없을까?
  • 이 회사 면접을 준비한다고 생각하자!
    • 예상 질문 1) 저희 서비스 많이 써보셨나요?
    • 예상 질문 2) 저희 서비스에서 개선할만한 점이 있다면 제안해주세요
    • 예상 질문 3) OOO와 비교해서 저희 서비스는 어때요?

2. 역기획 프로세스

  1. 서비스를 선택하고 구조와 수익구조를 파악한다.
  2. 회사의 목표, 전략, 특징을 조사한다.
  3. 서비스의 특이하고 불편한 점을 찾아 어떤 전략적 이유에서 선택했는지 추론한다.
  4. 전략에 비해 미진하게 느껴지는 문제점을 찾아낸다.
  5. 동종업계를 벗어나 동일한 프로세스와 전략적 문제를 잘 해결한 서비스를 추가 분석한다.
  6. 원래 택한 서비스의 전략을 바탕으로 문제해결할 수 있는 기획안을 제시한다.
  7. 많은 사람들 앞에서 기획안을 발표하고 피드백 받는다.

 

https://brunch.co.kr/@windydog/165

https://www.youtube.com/user/towardlee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6378491


3. 역기획 문서 양식

  1. 서비스 소개
  2. 서비스 분석
    • 서비스 미션 & 비전
    • 서비스 목표
    • 서비스 전략
    • 서비스 구조
  3. 서비스 문제점 및 개선방향
  4. 서비스 개선안 도출

4. 역기획과 현업 실무 기획의 차이

 

♣ 역기획과 실무 기획의 다른점

구분 역기획 실무 기획
대상 서비스 전반 서비스의 일부 영역
문제 제기 다른 사람
문제의 종류 크고 해결하기 어려움 알고 있고 해결할 수 있지만, 우선순위에 따라 진행할지 결정됨
문제 해결 논리적으로 개선안을 만들고 제안하면 됨 개선안을 여러 사람에게 리뷰하고 설득해서 의사결정 받은 다음 실행까지 해야함
실행 방법   디자이너, 개발자를 지정받고 끊임없이 기획서와 산출물들로 질의응답하고 업데이트해가며, 구현. 중간에 높은 사람이나 방해꾼(?)들도 대응해야 함
오픈 이후   오픈하고도 내 일. 결과보고도 하고 모니터링도 하고 버그수정도 요청하고 오픈 후 수정개발건도 챙기고 잘못되면 욕도 먹고 고생한 담당자들에게 감사 인사도 하고

 

 

♣ 현장에서의 요구사항들 예시

  • 판매자 : 상품 등록했는데 상세설명 이미지가 안나와요!
  • 영업팀 : XXX 브랜드가 자기네 상품 주문하면 주문완료 페이지에 적립신청 화면 노출해달래요!
  • 마케팅팀 : 앱 종료할 떄 동영상 광고 팝업기능이 있으면 좋겠어요
  • 정보보호팀 : 배송지 저장 동의항목을 넣어주세요
  • 전략기획팀 : 이번에 오픈한 OOO기능 전략회의자료 약식 드릴테니 작성해주세요
  • 회계팀 : 이벤트 적립금이랑 상품판매 적립금을 따로 표시해주세요
  • SCM팀 : 도서산간 추가 배송비를 설정할 수 있게 해주세요
  • 높으신 분 : 가정의 달인데 앱 아이콘 디자인 좀 바꿔보는게 어때?
  • 고객 : (별점 1점) 너넨 이딴 것도 앱이라고 쳐 만들었냐 ㄴ미ㅏㄴ댕루ㅏㅓㅣ